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프라 및 투자

두산 - 인도에 1,320MW 화력 발전소 건축

한국 건설 회사 두산이 2조8000억원 화력 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다. 두산은 인도에 1,320MW 석탄 발전소 2곳을 건축할 계획이다. 두산파위시스템즈인디아 (DPSI)와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 주정부가 맺은 계약상 두산은 소네바드라에 2x...
더 보기
예측

상동 (중국) - 2030년 까지 석탄 생산 절반으로 단축

상동 (중국) 지방은 석탄 생산을 절반으로 단축하며, 현재144Mt 에서60Mt 로 2030년까지 줄이기로 계획 하고 있다. 그 지방은 중국의 주요 석탄 생산 지역이자 가장 큰 석탄 소비 지역이다. 상동은 2030년까지 그의 석탄 소비량을 50Mt로 ...
더 보기
에너지 가격 및 세금

OPEC과 non-OPEC 산유국, 생산 단축 관련 합의

OPEC (석유 수출국 기구) 과 non-OPEC 산유국들은 원유 생산량을 서로 줄이기로 합의하였다. 2001년 이후로 첫 거래이며, OPEC 산유국 안에서 1년 넘게 논의한 주제이다. 2016년 12월 초에, OPEC에서 원유 생산량을 1.2 mb/...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2017년 국제 석유 투자 - 3년 연속 하락

제에너지기구 (IEA)에 의하면, 석유 생산 관련 투자는 2017년까지 3년 연속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공급 과잉으로 인해 석유 시장이 큰 변동성을 겪으며 몇년동안 하락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OPEC에서 생산 수준을 유지하...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일본 - 파리협정 발효 후 비준

일본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발효 수일만에 협정에 공식 비준하였다. 일본은 온실가스배출을 2013년 수준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26%를 감소하여 1.04GtCO2eq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5년 비해 25...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중국 - 200MW 부양식 해상원자력 발전소 공사 개시

공기업인 중국광핵집단 (CGNPC)가 첫 부양식 해상원자력 발전소 공사 개시를 했다. 200MW ACPR50S 원자로는 남중국해에 위치될 예정이다. 원자로는 해양 석유 시설과 남중국해 섬들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6년초 국...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파리 기후협정 발효, 더 많은 노력 필요함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GHG) 55%이상을 차지하는 55개국 이상이 비준을 마치면서 발효 조건을 갖추면서 30일 후, 2016년 11월 4일 날짜로 기후협정이 발효된다. 현재, 94개 국가랑 유럽연합은 협정에 동의하며, 55% 온실가스 배출율은 ...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쓰촨 (중국) 2020년까지 신규 수력 프로젝트 정지

중국 남서 지방 쓰촨성에서 2016년-2020년 기간동안 신규 수력 발전소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 하였다. 그러므로 소규모 수력 개발과 중형 프로젝트는 모두 다 제한되었다. 쓰촨성은 큰 수력 자원을 보유하여 2015년 말, 68GW 수력 발전용량...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