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프라 및 투자

태국 - LNG 수입 활성화

태국 국유 석유-가스 회사인 PTT는 태국의 기존 LNG 제기화 용량을 두배 이상 늘릴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그리하여 태국은 가스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LNG 개발을 주시하고 있다. 태국의 유일한 LNG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PTT는 연...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중국 - 2017년 7월부터 신재생에너지 녹생인증서 개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NDRC)에서 2017년 7월 1일 부터 풍력 및 태양열에 대한 녹색인증서를 발행하기로 발표했다. 녹색인증서를 통해, 신재생 분야에 대한 국가 보조금을 삭감할 계획이다. 풍력과 태양열 녹색인증서는 거래가 가능하며 - 각 ...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EU 국가 - 2020 재생에너지 20% 목표 달성

유럽연합집행기관에 의하면, 유럽연합은 2020년까지 20%의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14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6%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였다 (2015년 16.4%). 그러나, 회원국들은 그들의 국가 목표에 도달하기 ...
더 보기
에너지 시장

중국 - 2016년 전력 소비 5% 상승

중국 에너지 관리국에서 2016 에너지 데이터를 발표했다. 에너지 관리국에 의하면, 산업 전력 수요가 2.9% 증가되며 전체 전력 소비량이 5% 상승하였다. 농업부문 전력 수요는 5.3% 증가, 서비스 부문은 11.2% 증가 그리고 가계부문은 11% ...
더 보기
에너지 시장

2016 미국 석탄 생산 17% 하락, 1978년 이후 최저 레벨

미국 에너지정보국 (EIA)에 의하면, 2016년 미국 석탄 생산량은 2015년에 비해 17% 하락하였고, 2008년 이후로 8년 연속 하락세를 타고있다. 2016년도 석탄 생산량은 743Mt으로 1978년 이후로 최저 레벨이다. 5대 석탄 지역 생...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두산 - 인도에 1,320MW 화력 발전소 건축

한국 건설 회사 두산이 2조8000억원 화력 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다. 두산은 인도에 1,320MW 석탄 발전소 2곳을 건축할 계획이다. 두산파위시스템즈인디아 (DPSI)와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 주정부가 맺은 계약상 두산은 소네바드라에 2x...
더 보기
예측

상동 (중국) - 2030년 까지 석탄 생산 절반으로 단축

상동 (중국) 지방은 석탄 생산을 절반으로 단축하며, 현재144Mt 에서60Mt 로 2030년까지 줄이기로 계획 하고 있다. 그 지방은 중국의 주요 석탄 생산 지역이자 가장 큰 석탄 소비 지역이다. 상동은 2030년까지 그의 석탄 소비량을 50Mt로 ...
더 보기
에너지 가격 및 세금

OPEC과 non-OPEC 산유국, 생산 단축 관련 합의

OPEC (석유 수출국 기구) 과 non-OPEC 산유국들은 원유 생산량을 서로 줄이기로 합의하였다. 2001년 이후로 첫 거래이며, OPEC 산유국 안에서 1년 넘게 논의한 주제이다. 2016년 12월 초에, OPEC에서 원유 생산량을 1.2 mb/...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2017년 국제 석유 투자 - 3년 연속 하락

제에너지기구 (IEA)에 의하면, 석유 생산 관련 투자는 2017년까지 3년 연속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공급 과잉으로 인해 석유 시장이 큰 변동성을 겪으며 몇년동안 하락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OPEC에서 생산 수준을 유지하...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일본 - 파리협정 발효 후 비준

일본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발효 수일만에 협정에 공식 비준하였다. 일본은 온실가스배출을 2013년 수준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26%를 감소하여 1.04GtCO2eq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5년 비해 25...
더 보기
인프라 및 투자

중국 - 200MW 부양식 해상원자력 발전소 공사 개시

공기업인 중국광핵집단 (CGNPC)가 첫 부양식 해상원자력 발전소 공사 개시를 했다. 200MW ACPR50S 원자로는 남중국해에 위치될 예정이다. 원자로는 해양 석유 시설과 남중국해 섬들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6년초 국...
더 보기
정책 및 규제

파리 기후협정 발효, 더 많은 노력 필요함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GHG) 55%이상을 차지하는 55개국 이상이 비준을 마치면서 발효 조건을 갖추면서 30일 후, 2016년 11월 4일 날짜로 기후협정이 발효된다. 현재, 94개 국가랑 유럽연합은 협정에 동의하며, 55% 온실가스 배출율은 ...
더 보기